레이블이 연사속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연사속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1월 29일 토요일

네이비필드 국가별 연사속도 비교 (주포)

안녕하세요 DCinside함대 g_dori입니다

오늘은 이전에 검토가 완료된 연사속도 공식과 갑판병 보정의 효율을 활용해서 필드에서의 실성능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과거 포스팅 링크 - 네이비필드 연사속도 공식
과거 포스팅 링크 - 갑판병의 보정능력과 범위 + 복수탑승시의 효율


각 국가별로 포병의 수병트리가 다르고 성장어빌 및 최종어빌이 다르지만 그와 더불어 국가별 함포 컴포넌트의 초기연사속도도 차이가 있습니다.
필드에서 구현되는 연사속도는 포병수병의 연사능력과 함포의 초기연사속도가 둘다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제로 연사속도가 국가별 동급함급에서 비교해 보았을 때 어떤지 살펴보았습니다.

비교 전제조건 > 육성완료 (만렙/45%만사관)


국가별로 주로 육성하는 수병에서 차이가 있는데다가 갑판보정이 가능한지 아닌지 다르고 더불어 1갑으로 보정이 가능한 국가도 2갑으로 보정이 가능한 국가도 있기 때문에 노갑/1갑/2갑으로 나누어서 비교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영국의 경우 육성법이 매우 많지만 제일 비율이 높은 개근수병 명중강화와 명중플미 명중강화 칼직의 2가지 경우로 살펴 보았습니다. 개근수병 연사강화에 연사플미 연사강화(혹은 개근수병 연사강화) 3갑판으로 보정이 가능하지만 갑판병3명의 효율은 매우 떨어지므로 이렇게 극단적으로 세팅하시는 분은 적을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산타수병 혹은 산타갑판을 쓰지 않으면 보정이 불가능한 경우는 제외 하였습니다 .(독일)

참고사항)
EBB(115) = 115렙제 이벤트전함
EBB(85) = 85렙제 이벤트전함 
PBB(61) = 61렙제 프리미엄전함
PBB(80) = 80렙제 프리미엄전함
BB5 = 5차전함
BB4 = 4차전함


2갑(7%) = 각 갑판병의 보정효율합이 10%이상일때 7%이상
예1) 연플연강(혹은 개근연강) 갑판 (6%) + 전설보조 연강 갑판 (4%) = 2갑보정 7%
예2) 연플연강 갑판 (6%) + 연플연강 갑판 (6%) = 2갑보정 8%

국가별비교 (노갑)















일본의 연사속도가 매우 느린것이 눈에 띕니다. 그 다음으로 느린건 미국.
노갑일 경우에는 EBB(115)에서 연사속도가 이탈리아=독일=영국 세 국가가 동일하였습니다.


연사속도 국가별비교 (1갑)











미국/일본/이탈리아의 경우에는 전설보조1갑으로도 1구간 보정이 가능합니다.
(굳이 연사/명중플미갑판 혹은 개근갑판을 안쓰셔도 무방합니다.)
전설보조갑판은 수리속도/기관보정에서 플미갑판 혹은 개근갑판보다 우월 하기때문에 미국/일본/이탈리아 유저분들에게는 전설보조1갑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연사속도 국가별비교 (2갑)














프랑스/소련의 경우에는 2갑으로 보정이 가능합니다
2갑세팅의 경우 기관 지속력에서 큰 페널티를 안고가기때문에 게임후반부에서의 불리함을 감수하고서라도 연사속도를 끌어 올리고 싶으신 분들은 2갑 세팅을 전설보조갑판 + 연사플미갑판(혹은 개근갑판) 으로 육성하시면 되겠습니다

연사속도 국가별비교 (노갑+1갑+2갑)








마지막으로 노갑/1갑/2갑 전체를 같이 비교해 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연사속도 빠른순서 at EBB(115)
이탈리아(1갑)>소련(2갑)>이탈리아(노갑)=독일=영국(개근명강)>소련(노갑)>미국(1갑)>영국(명플명강)=일본(1갑)=프랑스(노갑)>미국(노갑)>일본(노갑)

전설보조갑효율이 좋은 국가
미국 / 일본 / 이탈리아

갑판으로 연사속도가 보정이 불가능한 국가 (연플연강 혹은 개근연강일시)
독일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네이비필드 유저 여러분 즐거운 설 연휴 되시기 바랍니다.
(저는 외국인 노동자라서 연휴가 없....설연휴없찐입니다.....ㅠ)

2021년 10월 27일 수요일

소련 5.1인치 대공포 상향검토

안녕하세요 DCinside함대 g_dori입니다

10/27에 올라온 패치내용 중에 소련전함유저에게는 희소식인 5.1인치 부포 연사속도 조정이 있었습니다

영국 5.25rp 대공포가 상향되고 나서 상대적으로 더 대공포 연사속도가 느렸던 소련/일본이고 몇몇 유저들이 공홈자게에 불만을 토로했었는데 소련 5.1인치 대공포의 연사속도를 상향하려는 것처럼 보입니다

지금 소련을 육성하고 있는 저로서는 환영할 만한 패치입니다 (개인적으로 왜 일본은 대공포 상향을 안해주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만...)


패치노트에 함포연사속도를 FROM/TO로 어떻게 조정하겠다는 상세내역이 없었기때문에 개인적으로 한번 검토해 보았습니다 


개인적인 바램으로는 욕심히 좀 과하지만 함포초기연사 2.36초 정도로 상향해줬으면 싶습니다
내일 정기점검이 패치되고 나면 이글은 별로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개인적으로 기대대는 내용이기에 포스팅 해보았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업데이트 후 -------------

SD-2 함포의 상향은 2.76s > 2.48s 로 적용되었습니다
제 과한 욕심에는 못미쳤지만 과거 패치를 되돌려 보면
이번 함포상향은 굉장히 후한 상향이라고 생각됩니다

실제 유저입장에서 살펴보면 
대공포에서 의미있는 연사구간인 3연발 이상을 원하신다면
무조건 연사플미 연사강화 수병 + 2갑 세팅을 하셔야 겠고
기존의 연사속도로도 만족하시고 계셨던 분이라면
연사12 노갑으로도 같은 연사속도이므로
연사12/수리11+2 수리포병 육성도 고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1년 10월 3일 일요일

네이비필드 연사속도공식

네이비필드 함포연사속도

1) 연사구현&연사속도의 최소단위 (링크)
2) 수병연사능력 / 수병연사구간 (링크)
3) 연사속도공식 (현재글)


안녕하세요 DCinside함대 g_dori입니다

네이비필드 게임시작 이후로 연사속도는 전함유저 뿐만아니라 항모유저에게도 굉장히 게임진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었지만 기존에 유저들 사이에서 검토되어 졌던 연사속도공식은  구조적으로 포병능력∝연사속도 의 관계였지만 실제 연사속도가 계단식 구현인 부분이 고려되어 있지 않았고 오차도 굉장히 많았기에 체계적인 검토를 개인적으로 진행해 왔었습니다

기존포스팅글) 글 상단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오늘 포스팅 하려고 하는 부분은 기존에 공유했었던 정보의 뒷이야기이고 많은 분들이 알고싶어하신다고 생각하는 연사속도공식에 대한 부분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제 나름대로의 연사속도공식을 도출할수 있었고 오차는 0.04초 이내입니다
완성된 연사속도공식은 수병계산기 사이트에 조만간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이 글에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연사속도 공식 검토가 이루어 졌는지를 주로 다루겠습니다
기존포스팅에서 공유했었던 내용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수병어빌에 따라 연사구간이 결정된다
  • 동일 연사구간 동일 함포연사 일 경우에 국적불문 동일 연사속도가 된다
  • 연사속도의 최소단위는 연사구현 6f 단위 / 평균연사 1f 단위이다

이후에 검토했던 방향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함포연사-연사구간-연사속도의 데이터 축적
  2. 연사속도의 실제구간 확인
  3. 연사구간 차이에 의한 연사속도 차이
  • 위 3가지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사공식도출검토

오늘 포스팅은 위 검토방향성 1) ~ 3) 를 순서대로 따라가 보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기존검토결과를 토대로 시간단위는 f단위로 진행하였습니다(0.04s = 1f, 1s = 25f)

1) 함포연사-연사구간-연사속도의 데이터 축적

지난 연사구간 계산기 포스팅 이후로 몇몇 분들의 협조를 해주셔서 연사공식검토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축적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일반적육성으로는 도달 불가능한 연사구간을 포함해 많은 협력을 해주신 아래분들에게는 다시한번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 김나사/오로라/해룡/나이트런/노모스/사관사냥/조루/뀨뀨돌이/위성
 
연사플미연강 구간 + 그 윗구간 + (혹은 산타연사구간) 에서
주력전함(4차급 이상) / 주력대공부포 의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었고
부가적으로 함포연사속도가 느린 60초 투사폭뢰의 데이터와
부포만연사 구간의 데이터를 직접 검증하면서 수집하였고
이미 수병계산기에 실측데이터를 연결해 놓았었습니다
** 현재는 연사속도공식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2) 연사속도의 실제구간 확인

이게 무슨 말인고 하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전 포스팅에서 [평균연사속도의 최소단위가 1f] 이라고 공유했었지만
매 1f마다 평균연사속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12f(0.48s) 다음 구간은 13f(0.52s)가 아니고 14f(0.56s)이고
17f(0.68s) 다음구간은 18f(0.72s)가 아니고 19f(0.76f)였습니다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소연사 6f부터 71f까지의 트렌트를 확인해보았습니다
단순히 순서대로 배열한 그래프입니다
(최소연사 6f - x=1 / 차연사속도 7f - x=2 /...)

눈치가 빠르신 분들은 위 그래프에 포함되어 있는 추세선 등식을 보고 아셨겠지만
1.3의 기울기를 가지고 구간순서에 따라 연사속도가 존재하지 않는 (이빨빠진 연사속도가 존재)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정리해보자면 아래 두가지가 되겠습니다
  1. 연사속도 발현은 함포연사구간이 먼저 설정되고 그에 따른 연사속도가 정해진다 (함포연사구간 x 1.3배 +@)
  2. 연사속도는 f단위로 보았을때 13번 중 3번 존재하지 않는 일명 이빨빠진 연사속도가 존재한다
  • 함포연사구간은 수병어빌에 따른 수병연사구간과 다른 개념입니다

3) 연사구간차이에 의한 연사속도 차이 

축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차전함 함포연사에서의 연사구간차이의 트렌트를 확인해보았습니다만 네이비필드 특유의 연산처리 (타 수리/보수/잠재/기관 등등의 연산처리에서 버림연산이 매우 많음 > 계단식 처리)의 영향인지 약간의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함포연사 18.92s에서의 데이터 입니다

내림연산처리가 많았던 특성을 고려해서 이번에도(연사속도에도) 특별한 연산처리가 되어 있는지를 먼저 검토하였습니다
함포연사속도를 크게+단위를 되도록 00을 많이 포함하게한 (투사폭뢰 60초함포)의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18.92s 데이터에서는 확인할수 있었던 오차가 60s 데이터에서는 확연히 줄어들었습니다
네이비필드 게임상 구현단위인 f단위로 바꾸자면 473f > 1500f 에서 오차가 극단적으로 줄어든거고 이를 뒤집어보자면 연사속도 연산에서 0.01단위의 round처리(반올림/내림/올림)가 있었다고 판단할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더 짚어봐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연사구간의 연사속도 반영비율입니다 (그래프의 기울기)
    18.92s(473f)    : -6.14
    60s(1500f)       : -19.50
함포연사가 동등하지 않으므로 기울기를 함포연사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18.92s(473f)    : -0.01298=-1.298%  (-6.14/473)
    60s(1500f)       : -0.01300=-1.300%  (-19.50/1500)
18.92s가 더 많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보았을때
정확하게 계수가 떨어지는 -1.3%가 더 신뢰성 있는 데이터입니다

이를 정리해보자면 아래 두가지가 되겠습니다
  1. 연사속도계산에서 0.01단위의 round처리가 있다
  2. 수병연사구간1구간up시에 연사속도 -1.3%에 수렴한다

4) 추가검토 - 0어빌시 연사속도-함포연사 

2)3)의 데이터를 보시자마자 이미 어?? 하셨던 분들이 계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연사속도-함포연사구간의 기울기 1.3배
  • 연사속도-수병연사구간의 기울기 1.3%
이 두가지 검토결과가 우연히 1.3이라는 숫자가 적용되어 있었습니다
3)의 검토결과를 네이비필드 특유의 round처리는 일단 내려놓고 의미를 되집어 본다면
[수병연사구간 1구간 상승시 연사속도 -1.3%] 가 되는데 수병연사구간 1구간(=0어빌) 일때의 데이터를 같이 고려해볼 필요성을 느꼈기에 추가검토를 진행했고 그 결과가 아래 그래프입니다


0어빌 (연사속도 최대일경우)에서 연사속도-함포연사 간의 관계도 1.3배에 수렴했습니다
다만 단순히 숫자 뿐만아니라 주목해야할 부분은 저함포연사에서는 오차가 고함포연사보다 도드라져 보인다는 부분입니다
이는 수병어빌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round처리가 있다는 사실과 round단위가 저함포연사일때는 영향이 커진다 (=저함포연사/고함포연사 동일한 round단위)라고 볼수 있겠습니다
  • 0어빌시 연사속도변화는 함포연사변화의 1.3배이다
  • 0어빌시 연사속도는 함포연사의 130% + 약간의 오차가 있다
  • 연사속도 계산에서 round처리가 있다
  • round처리는 함포연사속도에 관계없이 일정적용으로 추측된다

5) 가설설정 - 검증 & 수병연사구간 재확인

얘기가 많이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지금까지 검토한 내용을 다시한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연사속도 발현은 함포연사구간이 먼저 설정되고 그에 따른 연사속도가 정해진다 (함포연사구간 x 1.3배 +@)
  • 연사속도는 f단위로 보았을때 13번 중 3번 존재하지 않는 일명 이빨빠진 연사속도가 존재한다
  • 연사속도계산에서 0.01단위의 round처리가 있다
  • 수병연사구간1구간up시에 연사속도 -1.3%에 수렴한다
  • 0어빌시 연사속도변화는 함포연사변화의 1.3배이다
  • 0어빌시 연사속도는 함포연사의 130% + 약간의 오차가 있다
  • 연사속도 계산에서 round처리가 있다
  • round처리는 함포연사속도에 관계없이 일정적용으로 추측된다
이를 토대로 제가 세운 가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연사속도의 발현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친다
        수병연사구간 > 함포연사구간 > 연사속도
        지금까지의 검토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가설입니다
2) 수병연사구간1구간에 의해 함포연사속도가 1%씩 줄어든다
        근거2-1) 수병연사1구간 -> 연사속도 -1.3%
        근거2-2) 함포연사구간 -> 연사속도 발현시 1.3배 
3) [수병연사구간 > 함포연사구간] 이 과정에서 round처리가 존재한다
        근거3-1) 저함포연사에서의 오차가 고함포연사에서의 오차보다 크다
        근거3-2) [함포연사구간>연사속도]는 1대1 대응이므로 [수병연사구간>함포연사구간]안에 round처리가 존재한다

이 가설을 토대로 실제측정 연사속도 데이터와 검토공식의 초안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축적된 실제측정 연사속도 데이터>

<검토수식 / 함포연사[f] x 수병연사1구간당-1% >
**이 과정 속에서 수병연사구간이 재검토되었습니다

유..레카.... 딸래미 목욕시키다가 떠오른 아이디어 가설이 들어 맞았습니다
연사가 갈리는 구간이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 테이블 [녹색존=레이저 / 파란색존=5-6연발 / 오렌지존=3-4연발]

더불어 round처리에 대한 사실도 확인 가능했습니다
    검토수식 + 내림(소수점이하) > 함포연사구간
        3이하 - 레이저(6f)
        4 - 5~6연발(7f)
        5 - 3~4연발(8f)

위에서 수병어빌 > 수병연사구간 > 함포연사구간 까지 검토가 완료되었고
함포연사구간 > 연사속도 부분만 최종확인하면 되겠습니다

위에 있는 검토1) 은 단순히 함포구간순서를 나열했었기에 절편값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확인된 함포연사구간을 토대로 회귀분석을 다시 실시하였습니다

이로서 연사속도공식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연사속도 = round ( 함포연사구간 * 1.3 + 1.87 )
함포연사구간 = rounddown { 함포연사(s) * 25 * [ 100% - (수병연사구간-1)% ] }
수병연사구간 = 연사능력에 대한 수병연사구간 // 실제구간측정 by g_dori
연사능력 = 연사어빌 * ( 4 * 사관 + 숙련병 ) x 수병빈혈도

현재 축적되어 있었던 모든 데이터에서는 오차가 없었습니다
    어빌0 구간 / 60s 투사폭뢰 측정데이터 / 부포 만연사 구간 / 폼폼이 만연사-직전 데이터 등등...
함포연사구간 > 연사속도의 검토기반 데이터는 연사속도 71f (2.84s) 이하 였기 때문에
일부 1f (0.04s) 오차가 생길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보고 있습니다만
수병어빌에 따른 연사구간의 차이는 정확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계산의 과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아래 두가지 계산기를 준비하였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께 부탁이 있습니다
정보글 퍼 나르시는거 막지 않습니다만 부탁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 출처(링크orURL포함)를 명확하게 기재하여 주시고
 - 한마디 저한테 말씀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어느곳이던 괜찮습니다 공홈쪽지/블로그댓글/디시인사이드 네이비필드갤러리 등등) 

최근에 굉장히 상처 받은 사건
    1. 출처 불분명 - 홈페이지 URL / 블로그URL / 포스팅URL 없음
    2. 갤닉 틀림 - g_dori <> gdoriz
    3. 인게임닉 틀림 - fscoolxi <> fscollxi
    4. 이 분 저한테 개인적으로 쪽지/귓말 했던 적 있는 분입니다 + 네이비필드 갤러리에서도 갑론을박 했던 분입니다
    5. 개인적으로 컨택 없었습니다




2021년 5월 2일 일요일

함포 연사속도단위에 관한 검토

네이비필드 함포연사속도

1) 연사구현&연사속도의 최소단위 (현재글)
2) 수병연사능력 / 수병연사구간 (링크)
3) 연사속도공식 (링크)


안녕하세요 DCinside함대 g_dori입니다

네이비필드라는 안에서 적 함포/함재기를 격추시킬수 있는 함포의 연사속도는
모든유저에게 매우 중요한 게임내 성능이고 알고 싶어하는 부분입니다

매우 적은 유저풀과 병맛게임운영(=게임내 구현로직을 자기네도 모름) 으로 인해
연사속도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오늘은 개인적으로 확인한 연사속도에 대한 검토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네이비필드에서 함포연사의 최대치는
흔히 레이저대공으로 불리우는 만연사구간이 있습니다
과거 네이비필드 커뮤니티 안에서 공유하던 [최소연사는 0.2 s] [연사 한구간 0.2 s]
라는 썰이었지만 직접 확인해 본 결과 실제와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제가 검토한 내용은 아래 두가지 내용입니다

    1.    연사구현의 최소단위
    2.    연사구간의 최소단위


얼핏보면 연사구현의 최소단위랑 연사구간의 최소단위는 같은거 아닌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지는 모르겠지만 이 두가지가 네이비필드에서 다르다
라는 것이 제 검토결과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 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연사구현 최소단위는 6 f = 0.24 s 이고
  • 연사속도 최소단위는 1 f = 0.04 s 이다 (평균값)

그리고 한가지 더 덧붙일 정보가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에 가까울지 모르겠지만
함포연사구간이 나뉠때의 구간차이는
함포초기연사속도가 줄어듬에 따라서 연사구간차이도 줄어듭니다

이 사실을 뒤집어 놓고 생각해 본다면
함포초기연사속도에 따라 이미 연사구간이 설정되어 있고
포병의 어빌에 따라서 해당하는 연사구간의 함포연사속도가 구현된다고 추측됩니다

포병어빌에 따른 연사구간은 다음 포스팅에서...

수병의 초기어빌리티와 확률분포 고찰

 25년5월15일 정기점검 에서 아래의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 패치 및 점검 내역 -- 1. 특정 아이템 내 설명문구가 추가 됩니다.   - 프리미엄 수병 아이템에 추가 됩니다. 공홈 5월 15일 정기점검 및 패치 안내 공홈 5월 15일 정기점검...